J-Scoopers는...

J-Scoopers는 일본의 최신 이공학관련 간행물 (책, 논문 등)과 학회-학술정보를 국내의 이공계열 학생 및 연구자들과 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공유하기위해 만들어졌습니다. 다양한 전공분야에서 연구하고 있는 연구자들의 생생한 일본 이공학관련 뉴스를 접하세요!

2012년 4월 7일 토요일

자기열재생 (自己熱再生, Self-Heat Recuperation)에 의한 바이오에탄올 생산원가 절감에의 기대

堤 敦司 氏
堤 센터장 (교수)
 도쿄대학 생산기술연구소는 2012년 2월 2일 기자회견을 열어, 당 연구소 소속 에너지공학제휴연구센타 (Collaborative Research Center for Energy Engineering)의 센타장인 堤 (Tsutsumi)교수팀이 독자적으로 구축한 '자기열재생이론'에 기반을 둔 프로세스 디자인을 新日鉄(Nippon steel) 엔지니어링과 공동으로 바이오에탄올증류 프로세스 (pilot scale)에 적용한 결과 기존 증류시스템의 약 1/7의 에너지소비로 바이오에탄올 분리 및 농축에 성공하였다고  보고하였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이전 게시물에도 소개되었던 NEDO의 '셀룰로오스계 에탄올 혁신적생산 시스템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소개자료는 여기에)



 실제로 에탄올의 분리 및 농축은 바이오에탄올 생산에 소비되는 에너지의 약 60-70%를 차지하고 있어 바이오에탄올 생산의 상용화에 큰 걸림돌이 되어왔습니다. 기존 증류법을 탈피하고자 membrane 혹은 흡착제를 이용한 분리 및 농축에 관한 연구도 최근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만, 발효액 중 수 %에 불과한 에탄올을 분리 및 농축하는데 소모되는 에너지는 공비증류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지금까지의 대부분의 바이오에탄올 생산 프로세스의 경제성 분석이 기존의 공비증류 및 열회수 시스템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왔기때문에 바이오에탄올 상용화 전망이 그리 밝지는 못했으나, 이 자기열재생이론에 기초한 Tsutsumi교수팀의 바이오에탄올 분리 및 농축 프로세스는 바이오에탄올 상용화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자기열재생에 기반을 둔 프로세스 디자인관련 학술자료는 여기에) 

Scooped by Seo, Dong-June  (도쿄대학 생산기술연구소)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