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coopers는...

J-Scoopers는 일본의 최신 이공학관련 간행물 (책, 논문 등)과 학회-학술정보를 국내의 이공계열 학생 및 연구자들과 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공유하기위해 만들어졌습니다. 다양한 전공분야에서 연구하고 있는 연구자들의 생생한 일본 이공학관련 뉴스를 접하세요!

SciencePortal (일본 사이언스뉴스)

JST News/Press release

JST 이벤트정보

2012년 7월 25일 수요일

Discotic Ionic Liquid Crystals of Triphenylene as Dispersants for Orienting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http://onlinelibrary.wiley.com/doi/10.1002/anie.201203284/abstract

저의 첫 오리지날 논문 (리뷰포함 두번째 논문)이 나와서 공유합니다.
앙게반테 이번 이슈  VIP 및 백카버로 선정되기도 했습니다.



Abstract


Triphenylene-based discotic ionic liquid crystals (ILCs) with six imidazolium ion pendants can disperse
pristine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SWNTs). When the ILC is columnarly assembled, doping with SWNTs results in macroscopic homeotropic columnar orientation. Combination of shear and annealing treatments gives rise to three different orientation states, which determine the anisotropy of electrical conduction.


초록 (한국말로 해본적이 없어서 어색하므로 왠만하면 영어버전을 읽으세요 -0-;;)

이미다졸리움 이온을 말단에 보유한 트리페닐린 원반형 이온 액정은 단층형 탄소나노튜브를 매우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액정 분자들이 칼럼을 이루며 조직화 할 때 탄소나노튜브가 도핑되면, 액정분자들은 기반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한다. 또한 간단한 열처리와 전단응력을 통해  탄소나노튜브의 배열 역시 제어할 수 있으며, 이는 이방성의 전기전도도 재료를 만드는데 활용될 수 있다. 


2012년 7월 4일 수요일

메탄발효소화액의 액비이용매뉴얼








メタン発酵消化液の液肥利用マニュアル-廃棄物処理から地域資源循環システムへの転換に向けて(메탄발효소화액의 액비이용 매뉴얼-폐기물처리에서 지역자원순환시스템으로의 전환을 향해)

-岩下幸司・岩田将栄 著
-社団法人 地域資源循環技術センター(JARUS)
-출판년도 : 2010

서론
1. 농촌지역에 메탄발효액비를 보급하기 위한 과제과 대응
2. 용어의 정의와 대상범위
 2.1 메탄발효액비
 2.2 대상으로 하는 기술, 수법의 범위
 2.3 대상으로 하는 작물의 범위
 2.4 주요 원료 (오니, 분뇨, 음식쓰레기, 가축배설물)
 2.5 기타 용어과 단위

제1장
1. 메탄발효와 소화액
 1.1 메탄발효란
 1.2 메탄발효소화액이란
2. 메탄발효액비의 농지환원의 현황
 2.1 논과 밭에의 시용사례
3. 메탄발효시스템의 부류와 JARUS가 목표로 하는 자원순환의 형태
 3.1 메탄발효시스템의 분류
 3.2 JARUS가 목표로하는 자원순환의 형태

제2장 메탄발효액비의 농지이용의 의의
1. 국가 및 광역권 단위의 효과
 1.1 지구온난화 방지 및 자원고갈에의 대응
 1.2 순환형사회의 형성
 1.3 바이오매스활용의 추진
 1.4 농정의 관점에서의 의의
 1.5 질소수지의 개선
2. "지방자치제"에 있어서의 장점
 2.1 쓰레기 소각과 자원화의 경제비교
 2.2 농업집락배수오니의 처분비경감
 2.3 메탄발효소화액의 "처리"와 "액비이용"의 경제비교
3. 지역농정 및 농가에 있어서의 장점
 3.1 퇴비와 메탄발효액비퇴비의 적절한 조합
 3.2 경종농가에의 장점
 3.3 축산농가에의 장점

제3장 메탄발효액비의 비료효과와 시비설계수법
1. 메탄발효액비의 비료성분
 1.1 각지의 메탄발효액비의 성분조사
 1.2 질소
 1.3 인, 칼륨
 1.4 원료와 비료성분
2. 시비기준
 2.1 기본적인 생각
 2.2 질소를 기준으로 하는 방법
 2.3 칼륨을 기준으로 하는 방법
 2.4 메탄발효액비성분에 입각한 시비방법
 2.5 각지구의 시용기준의 예
3. 메탄발효액비의 품질관리
 3.1 액비의 성분의 안정성
 3.2 오니비료의 안전관리
 3.3 기타 우려 물질의 안전관리
4. 토양관리
 4.1 토양의 모니터링
 4.2 질소에 의한 지하수오염
5. 액비이용 관점에서 최적인 메탄발효시설

제4장 메탄발효액비의 시용수법
1. 목초지에서의 시용수법의 개요
 1.1 액비살포기(slurry spreader) 등
 1.2  비배(肥培)관개시설(목초지)
2. 논에서의 시용수법
 2.1 개량형 분뇨살포기
 2.2 바큠로리등에 의한 붓기 수법
 2.3 논의 비배관개시설 (개발, 실증단계의 시설)
3. 밭에서의 시용수법
 3.1 개량형 액비살포기
 3.2 고랑시용수법
 3.3 밭 전용 마이크로 관개튜브의 이용
4. 메탄발효액비의 시용계획
 4.1 선행지구의 년간시용계획의 예
 4.2 년간 액비시용계획의 시뮬레이션(미야자키현, 아이치현)

제5장 메탄발효액비를 포함한 바이오매스활용계획 및 보급수법
1. 시읍면등의 역할과 체제정비
 1.1 시읍면등의 역할과 특징
 1.2 계획주체가 되는 시읍면의 체제정비
2. 지역에서 각 주체의 역할
 2.1 농업인단체
 2.2 농업관련단체
 2.3 농촌커뮤니티
 2.4 NPO
 2.5 민간기업 등
3. 계획권역의 설정과 시설의 건설계획
 3.1 바이오매스활용시설의 특징
 3.2 계획권역의 설정
 3.3 시설의 건설계획
4. "사회기술"의 개념을 채용한 사업의 추진
 4.1 사회기술이란
 4.2 전체의 조감과 지식의 동원
 4.3 문제해결을 위한 발상
 4.4 사회가술의 적용 예
5. 사업계획, 실시계획에서의 구체적인 작업
 5.1 원료의 검토 (폐기물로부터의 전환)
 5.2 액비이용에 대한 검토
 5.3 농정, 지역계획에 관한 검토

제6장 농촌의 지역자원순환구축에 대한 시점
1. 바이오매스활용에 대한 기본적인 시점
2. 폐기물처리에서 탈소각으로
3. 우리나라의 전통을 배운다
4. 왜, 분뇨나 슬러지가 순환되지 않는가
5. 매크로적인 시점에서 본 적절한 자원순환의 확립
6. 지역의 협동에 의한 순환형사회의 구축

7월중 일본내 학회 및 학술이벤트 일정

1.7월중의 일본내 학회일정 (여기
2.7월중의 일본내 학술이벤트 일정 (여기)

2012년 7월 2일 월요일

광화학반응에 수반된 전자이동 메커니즘에 대한 고찰


이하 JST press 기사인용 (원문은 여기)

고에너지가속기연구기구(KEK) 물질구조과학연구소의 사토우토쿠시 연구원, 노카와슌스케 준교수, 아다치신이치 교수, 대학이용기관법인 자연과학연구기구 분자과학연구소의 후지이히로시 준교수, 동경공업대학 대학원이공학연구과의 고시하라신야 교수의 연구팀은 100억분의 1초의 분해능으로, 태양전지나 광촉매의 기초반응에서 전자이동의 메커니즘을 해명하였다. 광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변환하는 소과정의 해명은 앞으로의 재료개발에 유익한 정보가 될것으로 보인다. 
본연구에서 이용한 pump-probe법에의한 시간분해 x선흡수분광측정은, 광조사로인해 일어난 화학반응과정에서의 전자이동이나, 그에 수반된 분자구조의 변화를 관측 가능하게 해준다. 이 방법을 통해, 색소증감태양전지, 광촉매, 유기EL등의 디바이스가 실제 작동하는 모습을 관측하는것이 가능하므로, 고효율화등을 도모할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성과는 미국화학회잡지 the journal of physical chemistry C 온라인판에 게재될 예정이다. 

図1

전자이동에의한 구조변화의 개념도

전자가 그림중의 중심에 있는 루테늄 (녹색)으로 부터 배위하고 있는 dipyridine분자로 이동하여, 그 전자가 dipyridine사이를  hopping 하고 있음.


논문명: Coordination and Electronic Structure of Ruthenium(II)-tris -2,2’-Bipyridine in the Triplet Metal-to-Ligand Charge Transfer Excited State Observed by Picosecond Time-Resolved Ru K-edge XAF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