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coopers는...

J-Scoopers는 일본의 최신 이공학관련 간행물 (책, 논문 등)과 학회-학술정보를 국내의 이공계열 학생 및 연구자들과 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공유하기위해 만들어졌습니다. 다양한 전공분야에서 연구하고 있는 연구자들의 생생한 일본 이공학관련 뉴스를 접하세요!

2012년 4월 18일 수요일

카본나노튜브 (Carbon nanotube)의 기초와 공업화의 최전선

제목: 카본 나노튜브의 기초와 공업화의 최전선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の基礎と工業化の最前線; Fundamentals of Carbon Nanotube and the Front Line of their Industrialization)
발행자: 吉田 陸 (Yoshida Atsushi)
발행처: 주식회사 NTS (http://www.iijnet.or.jp/nts)

가격 : 45000

카본 나노 튜브카본 나노 파이버카본 나노 재료에 관한 정보를 총망라 하고 있는 책입니다그만큼 가격도 비쌉니다. 2002년에 발행되었고, 10년이나 지났기 때문에 많은 정보가 갱신되기는 하였습니다만처음으로 카본 나노 재료를 접하시는 분들께서는 꼭 읽어보기를 권하고 싶습니다최신 기술을 연구하기에 앞서 과거에 어떠한 기술과 시대적 요구배경들이 있었는지현재의 기술의 시작이 무엇이고지금 어떻게 응용되어가고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Scooped by Ko, Seongjae (도쿄대 생산기술연구소) 

자세한 목차는 아래클릭



목차
1 카본나노튜브의 구조와 물성
1. CNT 구조와 작성법
1.1 탄소의 동소체
1.2 CNT 특징과 종류
2. CNT 작성법
2.1. 아크 방전법
2.2. 촉매 기상 성장법
2.3. SWCNT 작성법
2.4. 레이저 ablation
2.5. MWCNT SWCNT 비교
3. CNT 구조표시
3.1. 그라펜시트의 이용
4. 이론적 해석을 바탕으로 전기, 전자 물리적 성질
4.1. Huckel 이론을 바탕으로한 CNT 전자 물리적 성질 예측
4.2. 금속-절연체 전이의 고찰
4.3. Hartree-Fock 법을 바탕으로한 파이 전자를 포함한 CNT 전자 물리적 성질 예측
4.4. CNT 전기전도도 측정
5. 전자 재료로서의 CNT 이용 가능성
5.1. CNT 반도체의 결선(結線)
5.2. 전자방출소자 (field emission)
5.3. 금속적 상태와 양자 효과
6. CRT 개발

2 Scanning Probe Microscope 개발
1. 소개
1.1. CNT 특징
1.2. 지금까지의 연구 전개
2. CNT 합성
2.1. 냉강효과
2.2. 고온효과
2.3. 생성된 CNT
3. CNT 핸들링
3.1. 고주파와 CNT 순화(純化), 배향(配向) 조절
3.2. 카트리지 작성
3.3. 전자현미경 manipulator 개발
4. CNT 탐침(探針)
4.1. 탐침의 특징
4.2. 기계적 특성
5. CNT 기계적 특성과 직접 계측
5.1. 구부림 실험
5.2. 좌출법에 의한 실험
5.3. Buckling 힘에 의한 해석
6. CNT 탐침의 적용
6.1. CNT 탐침의 특징
6.2. DNA나선 관찰
6.3. 비접촉 원자력간 현미경
6.4. 단백질 PCNA 관찰
6.5. 단백질 RFC 관찰
6.6 실리콘 탐침과의 비교
6.7. 조절 방법
6.8. CNT 표면전위의 계측
6.9. 요철(凹凸)
6.10. 전위상
6.11. 리소그라피(lithography)
6.12. Nano indentation
6.13. 자기력 현미경
7. CNT 나노핀셋
7.1. 나노 공장에서의 나노 튜브의 조작
7.2. 핀셋 조작
8. 마지막으로

3 리튬 전지, 캐퍼시터로의 응용
1. 시작말
2. 탄소재료의 구조
2.1. 흑연
2.2. 하드카본
2.3. 폴리아센 계열 물질
2.4. 정리
3. 기술적 특징과 잠재 마켓
4. MWCNT 리튬 도핑
5. SWCNT 리튬 도핑
6. MWCNT Graphite
7. 구형, 원주형의 최밀입방구조
8. MWCNT 리튬전지용 음극으로의 응용
9. 고출력형 전지의 비교
9.1. 리튬이온 전지의 용도
9.2. 캐퍼시터
9.3. MWCNT 캐퍼시터

4 FED 개발과 CVD 합성 기술
1. 시작말
2. FED CNT-CVD 합성 기술
2.1. CNT 특성
2.2. FED 특성
2.3. 마이크로파 플라즈마 CVD
2.4. 전자 방출 특성
2.5. CNT 특성
2.6. 마이크로파 플라즈마 CVD 문제점
3. FED GNF-CVD 합성 기술
3.1. GNF 합성 기술
3.2. 전계 전자 방출 특성
3.3. GNF 선택적 성장
3.4. 디스플레이로의 응용예
4. FED 카본나노재료의 미래
4.1. FED CVD 합성 기술
4.2. 디스플레이의 소비전력
4.3. 마지막으로

5 카본 나노 튜브의 분자 소자로의 응용
1. 시작말
2. 나노테크놀러지, 재료분야의 최근 동향
3. 연구의 초기와 현재
4. CNT 특성
4.1. CNT 물리적 성질
4.2. 튜브 구조에 의한 전자 물리적 성질
4.3. 일차원성
4.4 라만계측
5. 분자 소자, 나노 디바이스로부터 무엇을 얻을 있는가
5.1. 재료의 특징
5.2. 탄성 산란과 비탄성 산란
5.3. Ballistic 영역
6. 미세가공
6.1. 미세가공 프로세스
6.2. 나노레벨의 패턴 형성 장치
6.3. 인공원자
6.4. MBE
6.5. LB 작성 장치
7. CNT
8. Coulomb blockade
9. 마지막으로

6 카본 나노 모양에 의한 수소 저장
1. 수소 이용 기술과 수소 저장 재료
1.1. 수소 에너지의 종합적 이용
1.2. 수소 저장 기술
1.3. 수소 저장 합금과 탄소 재료
2. 카본 나노 모양의 구조와 분류
3. CNT 의한 수소 저장
3.1. SWCNT 의한 최초의 수소 저장 보고
3.2. 저온에서의 수소 저장 (고순도 SWCNT 이용 추가 기술)
3.3. 실온에서의 수소 저장
3.4. SWCNT 초음파 처리에 의한 수소 저장량 증대
3.5. 전기화학 반응에 의한 수소 저장
3.6. SWCNT 관한 정리
3.7. MWCNT 관한 수소 저장 보고
4. 그라파이트 나노 파이버 (Graphite Nano Fiber, GNF) 의한 수소 저장
5. 외의 탄소 재료에 의한 수소 저장
5.1. 흑연층 화합물
5.2. 흑연의 분쇄에 의한 수소 고정
5.3. SWCNT 등에 의한 수소 저장 시뮬레이션
6. 마지막으로

7 기상 열분해법에 의한 카본 나노 튜브, 나노 파이버의 생성 메카니즘과 초고성능 복합 재료의 개발
1. 시작말
2. 열분해법에 의한 카본 나노 파이버와 나노 튜브의 생성
3. 고결정성 나노파이버와 저결정성 나노파이버의 비교
4. 산업 응용
4.1. CFRP 전기전도성
4.2. 리튬이온전극의 첨가제

8 수열(水熱) 조건에서의 각종 나노 카본의 생성
1. 개요
2. 시작말
3. 실험
4. 결과
4.1. 카본 나노 파이프
4.2. MWCNT
4.3. Bamboo-like 카본 필라멘트
4.4. 카본셀
4.5. 외의 구조를 가지는 카본
5. 고찰
6. 결론
7. 감사의

9 대량 합성의 위한 아크 방전법
1. 시작말
2. 이제까지의 연구 정리
2.1. 이제까지의 합성법
2.2. 이제까지의 저압 아크 방전법 (양극 증발법)
2.3. 저압 아크 장치의 구체적인
2.4. 저압 아크법의 문제점
3. 아크 방전법
3.1. 고압, 저압 아크 방전 현상과 진공 음극 아크 방전 현상
3.2. 아크 방전 법의 키워드
3.3. 헤테로 전극 저압 아크 실험
3.4. 흑연 음극 진공 아크 실험
3.5. 진공 아크법의 가능성
4. 촉매의 영향
4.1. 촉매 헤테로 전극 저압 아크
4.2. 저압 아크, 진공 아크의 정리
5. 대기중 토치 아크법 (arc-torch)
5.1. MWCNT 합성 장치의 개요
5.2. 직류, 교류 전압
5.3. 흑연 내의 금속 역할
5.4. SWCNT, CHN ( 카본 나노 ) 합성
5.5 토치 아크법의 정리
6. 마지막으로


10 탄소 카본 나노 튜브와 나노 뿔의 생성 메카니즘과 생성법
1. SWCNT ?
2. SWCNT 대량 생성
3. SWCNT 생성 메카니즘
4. SWCNH 관해서

11 탄화 수소 열분해법에 의한 MWCNT 대량 합성
1. 산업 기술 종합 연구소에 의한 CNT 연구의 경위
1.1. CNT 발견
1.2. 아크법에 의한 탄화수소 열분해법에 관하여
1.3. 아크법의 개발경위
1.4. 흑연 아크 방전법
1.5. 회전 음극 CNT 제조 장치
1.6. 실험 조건과 목적 생성물
1.7. 분리 조작 방법
2. 아크법에 의한 탄화 수소 열분해법
2.1. CNT 이용한 전자원의 실용화
2.2. 화학법
2.3. 원료 공급 계열 개량
3. 탄화 수소 열분해법에 의한 대량 합성
3.1. 장치와 합성법
3.2. 크기의 조절, 가스의 영향
4. 역미셀법에 의한 촉매의 조절
4.1. 코발트 나노 입자의 합성법
5. 기초 연구의 대형 장치로의 적용
6. 마지막으로
12 플러렌, 나노 튜브의 상업화 전망
1. 시작말
2. 비지니스, 기술의 공유
3. 제조 기술
4. 주목되는 용도
5. 마지막으로







댓글 없음:

댓글 쓰기